Insight

리더가 자기목표관리부터 제대로 해야하는 이유

abxinthe 2022. 11. 23. 11:44


1. 경영학 책들은 대체로 사람들을 관리하는 방법을 다룬다. 하지만 개인이 다른 사람들을 올바르게 관리할 수 있는지는 입증된 적이 없다.

2. 하지만 인간은 자기 자신을 관리할 수는 있다. 사실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경영자가 자기 자신도 관리하지 못하면서 부하나 동료들을 관리한다는 건 어려운 일이다. 경영의 대부분은 본보기이기 때문이다.

3. 자기 일과 회사 일에서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영자는 구성원들에게 잘못된 본보기가 되는 셈이다.

4. 지식 노동자의 경우, 머리가 좋다거나 열심히 한다거나 또는 아는 게 많다고 해서 목표가 저절로 달성되는 건 아니다. 목표 달성은 이런 것들과는 별개의 영역이다.

5. 경영자가 목표를 달성하려면 분명하며 매우 단순한 것들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자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런 후에 목표 달성이 ‘습관’이 될 때까지 실천해야 한다.

6. 그렇게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만이 성공한다. 경영자가 급여를 받는 이유는 목표 달성 능력이 있기 때문인데, 목표 달성 능력이 없다면 아무리 머리가 좋고, 풍부한 지식으로 아무리 오랜 시간 일해도 ‘성과’는 나지 않는다. (그리고 모든 지식 근로자는 자기 삶의 경영자다)

7.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자들은 한결같이 다음의 8가지 항목들을 실천했다.

- ‘무엇을 완수해야 하는가?’를 질문했고
- ‘무엇이 기업에 옳은가?”를 질문했고
- 실행 계획을 수립했으며
- 의사 결정에 따른 책임을 졌고
- 의사소통의 책임을 졌고
- 문제보다는 기회에 초점을 맞췄으며
- 생산적인 회의를 이끌었고
- ‘나’보다 ‘우리’를 생각하고 말했다.

8. 특히 ‘어떤 성과를 내야 하는지’ 묻고 그 질문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성공적인 경영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9. 이 질문을 하지 못한다면 최고 수준의 능력을 가진 경영자라 할지라도 무능력한 사람이 되고 만다.

10.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자는 자신의 자원을 분산하지 않는다. 그들은 모든 일이 가능해도 한 가지 가장 중요한 과업에 집중한다. 따라서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자는 성과를 내야 하는 일이 무엇인지 물은 뒤, 우선순위를 정하고 그 일에 집중해야 한다.

- 피터 드러커, <자기 경영 노트>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