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자존감 (Self-Esteem)’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것은 자칫 위험할 수 있다. 당연히 자존감이 낮으면 문제가 된다. 불안과 우울이 반복되고 가장 극단적인 경우 자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존감은 분명 중요하다. 그런데 왜 자존감이 문제가 될 수 있을까?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
첫째, 자존감을 획득하는 방식에 문제가 있다. “나는 특별하다”고 생각하기 위해서 우리는 “나는 평균 이상이다”라고 자각하려 한다. 모두가 평균 이상일 수는 없는 논리 모순이 있음에도 우리는 반복하여 자신의 “특별함”을 찾는다. 이것이 반복되면 나르시시즘이 된다. 미국 심리학회에서 25년 간 추적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현재 미국 대학생들의 나르시시즘이 최고 수치를 갱신 중이라고 한다. 자신의 종교, 민족, 신뢰하는 정치 정당이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면서 상대에 대해 혐오감을 가지게 되는 이유도 자존감을 획득하는 과정 중에 생기는 문제라는 것.
.
둘째, 성공에 대한 오해 때문이다. 우리는 원하는 것을 이루지 못했을 때 자기 자신을 다그친다. 특히, 전세계 여성들이 자존감 획득을 위해 가장 많이 투자하는 영역이 무엇일까? 바로 매력적인 외모다. 초등학교 3학년 즈음에는 남녀 아이들 모두 스스로 외모적으로 매력이 있다고 평가하지만, 6학년만 되어도 여학생들의 자존감 수치는 급격히 떨어진다. 성공은 평균이상으로 여기는 한, 이 레벨에 도달하지 못한 자기 자신에 대한 비하는 반복된다.
.
그렇다면 이 끊임없는 비교경쟁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여기에 필요한 것이 ‘자기 연민(Self-compassion)’이다. 자기 연민은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과 친절한 관계를 맺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마치 나의 집에 친구가 방문했을 때 잘해 주고 싶은 그런 관계로 자기 자신을 대하는 것을 말한다. Self-compassion에는 세 가지 요소가 있다.
.
1. Self-Kindness 친절한 환대.
냉정한 자기평가 보다는 자기 자신을 손님처럼 반기는 자세다. 유달리 나쁜 하루였거나 안 좋은 일이 있을 때 우리는 자기 자신에게 가장 독한 말을 할 때가 많다. 우리는 종종 우리 자신의 최악의 적이다.
2. Common Humanity 공통의 인간성.
인간이라는 것은 그 자체로 불완전한 존재라는 것을 그대로 인정하는 것이다. 이 고통과 이 곤란은 나만의 것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3. Mindfulness 마음챙김.
현재의 것과 그대로 함께 하는 것을 의미함. 가혹한 자기 비판을 지속하면 결국 스스로 회복할 기회를 뺏는 것과 같다.
.
우리가 우리에게 가혹한 이유는 동기부여를 잃지 않기 위해서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동기부여를 위한 가혹한 자기 비판은 결국 동기 부여를 떨어뜨리고 결국 우울증을 작동시키는 사례가 더 많다. 다행히 우리는 파충류가 아닌 항상성의 온도를 유지해야 생명이 유지되는 포유류다. 자기 자신에게 연민을 가질 때, 생리적, 생화학적으로 몸 안에서 일어나는 반응들이 정신적 치유에 도움이 된다. 자존감 회복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기 연민의 회복이 먼저다. 자기 연민이 없는 자존감 회복은 자기도취나 혐오를 유발하는 등 위험하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
여기까지 설명을 마친 Kristein Neff 박사는 마지막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혼 후 하나 밖에 없는 아들이 자폐로 진단을 받았을 때 가장 무너졌다고. 아이가 사람 많은 몰에서 소리치며 발작이 일어났을 때 그 아이를 데리고 갈 곳이 순간적으로 없다고 느꼈던 순간, 오로지 엄마 하나만이 우산이고 지붕이 될 수 있는 그 순간에… 자기 자신이 도망 가지 않고, 우는 아이를 안은 채 눈을 감은 채, “자, 나는 지금 나의 집에 찾아온 친구다. 나를 안아주고 위로하자”고 중얼거렸다고 한다. 그렇게 아주 잠깐이지만 다시 아이를 진정할 힘을 얻었다면서 다시금 말해주기를 “자기 자신에게 친절하세요. 오늘 당신의 집에 방문한 귀한 손님처럼요.”
.
( *self-compassion은 self-esteem에 대한 보완적 개념의 심리학적 용어로 흔히 불교 철학의 ‘자비심’과 관련이 깊다. 해골물의 각성을 뜻하는 ‘一切唯心造’와도 맥락을 같다.)
.
The Space Between Self-Esteem and Self Compassion: Kristin Neff
https://youtu.be/IvtZBUSplr4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가 자기목표관리부터 제대로 해야하는 이유 (0) | 2022.11.23 |
---|---|
평균 이상의 지능이라면 성실도가 성취에 중요 (0) | 2022.11.21 |
희소한 가치를 제공하라 (0) | 2022.11.08 |
자기가 많이 안다고 생각하면 평론을 한다 (0) | 2022.11.03 |
술먹고 하는 실수 (0) | 2022.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