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출 : 유저가 광고를 본 횟수(중복체크)
도달 : 광고를 본 유저수(중복아님)
전환 : 광고주가 원하는 특정 행동으로의 전환(결제,앱설치)
CTA(Call To Action) : 소비자 반응을 유도하는 요소(더 알아보기, 앱 다운로드, 구매하기)
USP(Unique Selling Point) : 제품이나 서비스를 팔 때 가장 강점이 되는 요소. 광고 전 USP 정의 선행
-성과 지표
ROAS(Return on Ads Spending) : 광고비 대비 수익이 얼마나 났는지에 대한 비율. '매출/광고비*100'
LTV(Life Time Value) : 유저가 서비스 내에서 결제한 액수의 총합
CAC(Customer Acquisition Cost) : 신규 유저 1명을 얻는 데 들인 광고비. '광고비/신규 유저'. CAC가 낮을수록 '광고 효율이 좋다'
CTR(Click Through Rate) : 광고를 본 사람 중에 몇 명이나 광고를 클릭했는지를 비율로 나타냄. '클릭 수/노출 수*100' CTR이 낮으면 타겟이 아닌 사람에게 광고송출중
- 활성화 지표
MAU(Monthly Active Users) : 실제로 서비스를 이용한 유저 수. 가입만 하고 안쓰는 사람들 제외. DAU-날, WAU-주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 유저 한 명이 평균적으로 내는 수익. '전체 매출/전체 유저'
ARPPU(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 전체 유저가 아닌, 돈을 지불하는 유저 한 명이 평균적으로 내는 수익
- 비용지표
CPM(Cost per Mile) : 광고가 1000번 노출됐을 시의 금액
CPC(Cost per Click) : 유저가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과금이 되는 방식, 노출이 몇 번 되든 클릭 수에 따라 광고비 책정
CPA(Cost per Action) : 유저가 특정 행동을 한 횟수만큼 광고비 지불. CPI(Cost per Install)는 앱을 설치한 횟수만큼 과금하는 방식으로, CPA의 하나로 분류
CPV(Cost per View) : CPM과 비슷하지만 CPV는 유저가 15초든 30초든 '일정 시간 이상' 광고를 시청해야 과금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색광고와 이미지광고는 유기적이다 (0) | 2022.04.23 |
---|---|
네이버 검색광고시스템 꿀팁 (0) | 2022.04.11 |
퍼포먼스/브랜드 마케터의 역할의 차이 (0) | 2022.03.09 |
광고 KPI 공식 (0) | 2022.02.14 |
OKR & KPI (0) | 2022.02.06 |